전체 글

잘못된 내용이나 부족한 부분 지적 감사히 받겠습니다.
반응형
ETC/ElasticSearch

ElasticSearch 설치하기

설치 환경 및 버전 Version CentOS CentOS Linux release 7.9.2009 (Core) d ElasticSearch 다운로드 페이지 에서 나온 대로, 설치를 진행한다. 텍스트 편집기로 elasticsearch.repo를 만들고, 아래 내용을 복사한다. $ vi /etc/yum.repos.d/elasticsearch.repo [elasticsearch] name=Elasticsearch repository for 8.x packages baseurl=https://artifacts.elastic.co/packages/8.x/yum gpgcheck=1 gpgkey=https://artifacts.elastic.co/GPG-KEY-elasticsearch enabled=0 autore..

ETC/ElasticSearch

ElasticSearch 입문

ElasticSearch란? 루신 기반의 오픈 소스 검색 엔진이다. Elasticsearch의 특징 1. 준 실시간 검색 엔진이다. ElasticSearch는, 실시간이라고 생각할 만큼 색인된 데이터가 매우 빠르게 검색된다. 이 때, refresh_interval이라는 파라미터의 영향을 받는데, 이를 조절하면 특정 시간 이후에 검색할 수 있게 해 준다. 2. 클러스터 구성이 가능하다. 한대 이상의 노드를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이루고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노드는 메시 형태로 요청을 주고받기 때문에 어떤 노드에서도 색인/검색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3. 스키마리스. Mysql, Maria DB 등의 RDBMS들은 테이블을 만들고 테이블에 입력할 데..

System/Docker

Docker 이론

서론 지금껏 Docker를 개인 NAS 에 서버 올리는 용도로 간단히 공부하여 잘 쓰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CentOS 이미지를 올렸을 때 나오는 D-Bus문제에 직면했고... 어떻게든 해결은 하였으나 이렇게 된 김에 처음부터 다시 공부해보기로 하는데..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클라우드란, 인프라에 사용되는 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데이터 분석 등을 포함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인터넷과 모바일 등을 통해 IT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컴퓨팅 기술이다. 클라우드의 주요 기능으로는 클러스터, 가상화, 분할, 프로비저닝, 자율 컴퓨팅, 그리드 컴퓨팅 등이 있다. 이름 설명 그리드 컴퓨팅 가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산된 컴퓨터 자원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방식. (인터넷의 유휴 ..

Programming/오답노트

React xdg-open error 해결

CRA(Create React App)로 만든 Application에서 저장소에 커밋하고 내려받을 때 /node_modules/.bin 파일들의 심볼릭 링크가 사라져서, react-script가 실행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그래서, 직접 경로를 지정해 주었다. // package.json { "scripts": { "start": "export PORT=8080 && node_modules/react-scripts/bin/react-scripts.js start", ... } } 하지만 조치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이 xdg-open 에러가 발생했다. $ npm start Starting the development server... node:events:505 throw er; // Unhan..

Programming

Front-end 성능 최적화 2

이미지 사이즈 최적화 웹 개발에는 많은 이미지들이 사용되는데, 사이즈가 너무 크면 느려지고 너무 작으면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어떤 이미지 사이즈가 적절할까? F12의 Lighthouse 탭을 이용하여, Opportunities 섹션 중 Properly Size Images 를 클릭해서 확인하면, 적절한 사이즈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해당 이미지를 사용하는 곳에 가서 커서를 올려 놓으면 아래와 같이 실제로는 120 * 120px로 렌더링되지만, 1200 * 1200px사이즈 이미지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권장되는 사이즈는, 실제 렌더링되는 사이즈의 *2 정도라고 한다.) 우리가 해당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면 직접 툴로 수정할 수 있지만, API 호출 등으로 불러오는 경우 이..

Conative
긍정적인 개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