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륵/오래된 대학 책 + 독후감 등

반응형
계륵/오래된 대학 책 + 독후감 등

기술 열두 이야기 1장 ~ 6장 연습문제 정답

Chapter 1 1. 기술의 종류를 둘로 나누면? ↳ 신체적기술, 도구적기술로 나눌 수 있다. 2. 기술의 사용방식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가? 그 예는? ↳ 도구의 출력과 정확성이 기술의 성과를 좌우하는 도구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예로 포크레인/굴삭기 운전이 있는데, 이는 이미 만들어진 기술의 접합체를 얼마나 정교하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정해진다. 3. 과학이 적용되지 않는 기술도 있는가? ↳ 신체의 숙련도가 기술의 성과를 좌우하는 신체적 기술이 있다. 그 예로 포정해우가 있으며, 칼로 고기를 써는과정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은 반드시 과학이론을 전제하지 않는다 - 고대 중국 로켓기관) 4. 인간의 진화사에서 주요한 호미니드의 이름을 나열해 보면?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호모 하빌리..

계륵/오래된 대학 책 + 독후감 등

기술 열두 이야기 7장 ~ 12장 연습문제 정답 + 정리

Chapter 7 1. 인공지능연구의 희망과 회의 ↳ 컴퓨터의 등장 : 2차 세계대전 암호해독 ↳ 컴퓨터에서 인공지능으로 : 1956 다트마우스 모임 ↳ 인공지능 : 일반적으로 인간에게만 있는 고도의 지적 과정을, 즉 추론하고, 발견하고, 일반화하고, 과거 경험에서 학습하는 등의 과정을 요구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컴퓨터의 능력. ↳ 인공지능에의 희망 : 충분한 기억용량, 처리속도, 프로그램을 갖추면 달성가능 ↳ 인공지능에의 회의 ↳ 인공지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이론적인 한계는 무엇인가? ↳ 컴퓨터가 과연 글자 그대로 정신을 가질 것인가 아니면 단지 정신의 흉내 내기만 할 것인가? 2. 인공지능연구의 두 방향 : 인지주의와 연결주의 ↳ 인지주의 : 환원주의 ↳ 논리학에 기초 ↳ 컴퓨터는 물리적 기호..

계륵/오래된 대학 책 + 독후감 등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를 읽고

왜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사용할까? 우선 젓가락은 중국에서 발명되었는데, 과거 중국은 뜨거운 음식을 쉽게 요리하거나 집기 위해 대나무로 만든 집게 형태의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중국 송나라 때 식탁에 둘러앉아 음식을 나눠먹는 식사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중국의 젓가락은 삼국 중 가장 긴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일본에서는 음식을 나눠 먹는 문화가 아닌 개인 접시에 담긴 음식을 먹는 문화가 있으므로 짧은 길이의 나무젓가락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생선 음식을 자주 먹어 뼈를 발라내기 위해 끝이 뾰족한 젓가락을 사용했습니다. 한국은 밥과 국을 함께 먹는 문화를 가지고 있어, 자연스럽게 숟가락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젓가락 끝이 평평한 이유는 제작 시 비용 절감을 위해 재료를 적게 쓰려는 이유와,..

계륵/오래된 대학 책 + 독후감 등

‘슈퍼차이나’를 보고

중국이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들에 비해 13억이라는 많은 인구를 가지고도 붕괴하지 않고 이어갔던 이유는 중국이 처음부터 국내시장이 아닌 세계시장을 보고 시작했다는 것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시장은 중국내 시장보다 훨씬 크기에, 많은 사람들은 일하기 시작했고 이 노동자들은 소비자들이 되어 중국에게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는 것을 보고, ‘사람이 많을수록 힘이 커진다.’라고 하였던 마오쩌둥은 이러한 미래를 예측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국의 기업들은 전 세계의 77억의 인구 중 16%에 달하는 13억이라는 거대한 인구를 이용하여 세계시장을 노리고 뻗어나갔다는 것을 보고, ‘한국이 만약 인구가 많았다면 중국의 기업들과 같은 길을 걸을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인구가 많아서 이들이 먹는 식량..

Conative
'계륵/오래된 대학 책 + 독후감 등' 카테고리의 글 목록